본문 바로가기
매일매일 코딩연습!/프로그래머스

[코딩연습7일차] 프로그래머스 : 크레인 인형뽑기 / python

by k-bonnie 2021. 1. 29.
728x90

ㅠ_ㅠ 요 며칠 개발자로 아르바이트를 시작해서 코딩테스트 할 시간이 없었다.

집 근처 IT중소기업에서 한 웹서버 구축 (관리자 페이지 풀스택개발_)아르바이트인데

9-6 풀타임에다가 처음 해보는 실무에 너무 정신이 없었어서 증맬루,, 고통이었다.

내일부터는 다시 백수이기 때문에 오늘 늦게 자는겸 바로~~ 코딩을 풀어봄.

 

아, 근데 실무하면서 느낀게 진짜 실무랑 코딩이랑 무슨 상관인지 모르겠따;

나는 물론 웹서버쪽을 일한거지만, 코딩은 좀 API개발..아니면... 약간 연관이 없는 느낌이기두 하구

하지만 일단 푼다. 취업은 코딩테스트니까///🤑

 


문제 설명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5 x 5 크기의 예시입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하며 격자의 가장 아래 칸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게임 사용자는 크레인을 좌우로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어 올릴 수 있습니다. 집어 올린 인형은 바구니에 쌓이게 되는 데, 이때 바구니의 가장 아래 칸부터 인형이 순서대로 쌓이게 됩니다. 다음 그림은 [1번, 5번, 3번] 위치에서 순서대로 인형을 집어 올려 바구니에 담은 모습입니다.

만약 같은 모양의 인형 두 개가 바구니에 연속해서 쌓이게 되면 두 인형은 터뜨려지면서 바구니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위 상태에서 이어서 [5번] 위치에서 인형을 집어 바구니에 쌓으면 같은 모양 인형 두 개가 없어집니다.

크레인 작동 시 인형이 집어지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만약 인형이 없는 곳에서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바구니는 모든 인형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합니다. (그림에서는 화면표시 제약으로 5칸만으로 표현하였음)

게임 화면의 격자의 상태가 담긴 2차원 배열 board와 인형을 집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시킨 위치가 담긴 배열 mov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크레인을 모두 작동시킨 후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board 배열은 2차원 배열로 크기는 5 x 5 이상 30 x 30 이하입니다.
  • board의 각 칸에는 0 이상 100 이하인 정수가 담겨있습니다.
    • 0은 빈 칸을 나타냅니다.
    • 1 ~ 100의 각 숫자는 각기 다른 인형의 모양을 의미하며 같은 숫자는 같은 모양의 인형을 나타냅니다.
  • move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mov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이며 board 배열의 가로 크기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board moves result
[[0,0,0,0,0],[0,0,1,0,3],[0,2,5,0,1],[4,2,4,4,2],[3,5,1,3,1]] [1,5,3,5,1,2,1,4] 4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인형의 처음 상태는 문제에 주어진 예시와 같습니다. 크레인이 [1, 5, 3, 5, 1, 2, 1, 4] 번 위치에서 차례대로 인형을 집어서 바구니에 옮겨 담은 후, 상태는 아래 그림과 같으며 바구니에 담는 과정에서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은 4개 입니다.


나의 풀이>>

1. move[]의 인수가 board[]의 행렬 번호가 된다 (주의점: move의 숫자 '1'은 board[0]행렬이다. 즉, -1씩 해야함)

2. board에서 맨 마지막 숫자 빠져 나가야함.

3. 빠져나간 숫자는 bucket에 쌓여야 함.

4. bucket에 같은 수가 2번 반복되면 삭제되어야 함.

 

def solution(board, moves):
    answer = 0
    bucket=[]
    
    for row in moves: #moves에서 열번호 추출
        for column in range(len(board)): #행번호(위로 쌓이는 높이)추출
            
            if board[column][row-1] > 0 : #board의 그 행렬에 들은 숫자가 0이상이면(특정 종류의 인형이면) 추출
                bucket.append(board[column][row-1]) #추출해서 bucket에 저장
                board[column][row-1] = 0 #추출당한 자리는 숫자 0으로 만듦(인형으로 치면 인형 없어짐.)                
                
                if bucket[-1] == bucket[-2]: #bucket에 쌓인 기준으로 보았을때 맨위(=맨뒤)와 맨위 앞(=맨뒤 앞) 숫자가 같으면
                    bucket.pop(-1) 
                    bucket.pop(-2)#걔네들은 터트려버령
                    answer += 2 # 터트린뒤 answer의 숫자를 늘려준다!
                   
                break
                
    return answer

첨에 쓴 코드....! 결과는!!!!

 

리스트에 인덱스값이 범위를 벗어났다~~ ! 저 얄미운 이모티콘...ㅋㅋㅋㅋ

풀이에서 리스트는 bucket뿐이고, bucket에 [-1] [-2] 위치를 지정해 주었는데

그러면 무조건 bucket이 2이상의 길이를 가졌다는게 포함되어야 할 듯.

 

def solution(board, moves):
    answer = 0
    bucket=[]
    
    for row in moves:
        for column in range(len(board)):
            if board[column][row-1] != 0:
                bucket.append(board[column][row-1])
                board[column][row-1] = 0
                
                if len(bucket) > 1:
                    if bucket[-1] == bucket[-2]:
                        bucket.pop(-1)
                        bucket.pop(-1)
                        answer +=2
                break
    return answer

 

슥샥슥샥해서 통과~~~

이제 list/ stack 문제 정도는 감을 잡은 것 같다. 뿌.듯.하.다.🍎